7월, 2022의 게시물 표시

수면 장애와 당뇨의 상관관계

이미지
    ( Insomnia could increase people's risk of type 2 diabetes infographic. Credit: Martin Rutter, University of Manchester )  영국에서 진행된 대규모 역학 연구 결과 수면 장애가 혈당을 높이고 당뇨 위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브리스톨 의대의 제임스 리우(James Liu, Senior Research Associate in the Bristol Medical School (PHS) and MRC Integrative Epidemiology Unit (IEU))가 이끄는 영국 브리스톨 대학, 맨체스터 대학, 엑세터 대학, 하버드 대학의 연구팀은 336,999명의 성인에서 불면증, 수면 시간 부족, 낮시간 졸림, 낮잠, 아침이나 저녁에 수면 등 수면 장애의 여러 형태를 유전적인 특성을 보정한 통계 방법인 만델리안 무작위 연구( Mendelian Randomization )를 통해 분석했습니다.   그 결과 수면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혈당이 많이 오르는 현상을 보였습니다. 수면 장애가 있을 수록 장기 혈당을 반영하는 당화 혈색소 (HbA1c) 수치가 높았습니다. (HbA1c (MVR 0.05 SD units [95% CI 0.04–0.06]; 1SMR 0.52 [0.42–0.63]; 2SMR 0.24 [0.11–0.36])) 수면 부족 자체가 스트레스 상황이기도 하고 깨어 있는 동안 더 많이 먹거나 군것질을 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생각하면 의외의 결과라고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면 장애를 치료하면 혈당을 낮출 수 있다는 증거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에 따르면 수면 장애에 대한 치료가 체중을 14kg 줄이는 것만큼 혈당 조절에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었습니다. 수면 장애를 모두 치료할 수 있다면 40-70세 사이 영국인에서 27300명이 당뇨에서 벗어날...

우주 이야기 1178 - 생성되는 원시 행성계 원반의 침입자

이미지
    ( Scientists have captured an intruder object disrupting the protoplanetary disk—birthplace of planets—in Z Canis Majors (Z CMa), a star in the Canis Majoris constellation. This artist’s impression shows the perturber leaving the star system, pulling a long stream of gas from the protoplanetary disk along with it. Observational data from the Subaru Telescope, Karl G. Jansky Very Large Array, and Atacama Large Millimeter/submillimeter Array suggest the intruder object was responsible for the creation of these gaseous streams, and its “visit” may have other as yet unknown impacts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planets in the star system. Credit: ALMA (ESO/NAOJ/NRAO), B. Saxton (NRAO/AUI/NSF) ) ( As stars grow up, they often interact with their sibling stars—stars growing up near to them in space—but have rarely been observed interacting with outside, or intruder, objects. Scientists have now made observations of an intruder object disturbing the protoplanetary disk around ...

우주 공간에 가면 빈혈이 생긴다?

이미지
    ( David Saint-Jacques was among a number of astronauts who provided breath samples as part of research into red blood cell counts in space. Credit: NASA )   과학자들은 우주 비행사에서 과거 볼 수 없던 특이한 빈혈을 발견하고 우주 빈혈 (space anemia)라는 명칭을 붙였습니다. 우주 비행사들이 무중력 상태에 몇 일 노출되면 갑자기 설명할 수 없는 이유로 헤모글로빈 수치가 떨어지고 빈혈이 발생했던 것입니다. 정확한 이유는 몰랐지만, 무중력 상태에서 혈액과 체액의 분포가 변하면서 적혈구를 10% 정도 잃는 것이 원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오타와 대학의 가이 트루델 박사 (Dr. Guy Trudel, from the University of Ottawa)가 이끄는 연구팀은 기존의 가설이 잘못됐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연구팀은 우주에서 6개월 장기 체류한 우주 비행사를 연구해 우주 빈혈이 이전에 알려진 것처럼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상당히 장기간 일어나는 적혈구 파괴 현상이라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참고로 매번 혈액 채취를 할 순 없기 때문에 호흡 시 나오는 일산화탄소를 측정. 일산화탄소 농도는 헤모글로빈의 핵심 분자인 헴 (heme)에서 생성되기 때문)  연구팀에 따르면 우주 공간에서는 적혈구가 지구에서보다 54%나 많은 초당 300만 개씩 파괴됩니다. 이런 변화는 남녀 우주 비행사 모두에서 관찰되었으며 상당히 오랜 시간 지속되었습니다. 적혈구 수치가 어느 정도 유지된 이유는 적혈구 생산이 늘어난 덕분이었습니다. 한 가지 더 놀라운 사실은 지구에 돌아온 후에도 3-4개월 간 적혈구 파괴는 30% 정도 더 높게 일어났습니다.   이번 연구에서도 적혈구가 파괴되는 정확한 원인은 알아내지 못했습니다. 무중력이 원인인지 아니면 방사선이 원인인지는 확실치...